본문 바로가기

내 관심사 산야초

[스크랩] 생채식 요법

생채식요법


 생채식이란 말은 조리식에 대칭되는 말로 식사때에 식물성이나 동물성을 불문하고 거의 조리하지 않은 자연그대로의 음식물을 식탁에 올리는 방법을 말한다.따라서 일반적으로 생야채,과일,생선회,육회,우유,달걀등이 포함 되겠으나 병을 치료하기위한 목적으로 하는 생채식에는 생선,육류,달걀,우유,과일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1. 생채식요법의 특징



태앙광선 에너지를 이용한다.

 태양광선은 에너지가 생명의 근원이라는 것을 지적한 사람은 많다. 그러나 생채식요법의 권위자인 빌헤르 벤너는 한 발짝 더 나아가 식품에 포함된 광선의 함유량에 따라 식품을 제1.제2,제3 등급으로 나누었다.그리하여 생야채와 광일이 1등급이고 치료효과역시 가장 크다고 말하였다. 우리는 생채식요법을 실천하면서 태양광선의 에너지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대지의 영양분을 십분이용한다.

 우리들의 생체는 대지에 있는 무기염류를 독자적으로 섭취한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가능하다고 해도 부작용이 많고 위험하다. 그런데 식물은 대지로부터 영양분을 섭취하고 있으니 식물을 생으로 섭취하면 우리도 무기염류를 공급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비타민을 십분 이용할 수 있다.

 비타민의 함유량이 풍부한 것은 신선한 야채와 과일이다. 그러나 이것을 조리하면 비타민은 파괴되고 만다. 비타민D와 E는 열에 강하여 파괴되지 않으나 A와 B는 상당량이 파괴되며 C는 거의 전부가 파괴되어 버린다. 우리들의 생체는 비타민C만 충분히 보급된다면 다른 비타민은 크게 논하지 않아도 좋다 할만큼 비타민 C의 파괴는 정말 중대한 문제가 된다.



식염의 함유량이 적다.

 생식에서는 무기염류가 풍부히 들어 있으나 식염의 함유량은 극히 적어 1일 섭취량이 0.2~2g 정도라고 한다. 이것은 질병에서 오는 구갈이나 음료에 대한 욕구를 완화시키는 결과가 된다. 또한 식염 함유량이 적은 것은 체액의 삼투압에 영향을 주어 수종을 고치는 효과를 낳게 되고 또 점막에 있어서는 소염작용으로 활동하게 된다.


알카리성 식품이 섭취된다.

 생채식의 주재료인 야채는 알카리성 식품이기 때문에 건강에 유익한 알카리성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게 된다.


단백질 함유량이 적다.

 야채 및 과일에는 단백질의 함유량이 극히 적으므로 단백질을 제한해야 할 질병에는 특히 생채식이 효과적이다.


단백질의 수요량이 적다.

 실제 문제로 생채식을 할 경우 생화학적 입장에서 보아도 단백질의 수요량은 소량으로 된다. 대체로 그 절대량은 30~40g 으로 족하다고 한다



수분의 공급이 적어도 된다.

 야채나 과일에는 그 자체가 60~8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생채식의 경우에는 수분의 함유량은 많아지고 식염의 함유량은 적어지므로 질병에서 오는 갈증을 고치는 힘이 커진다. 따라서 액체의 섭취를 극도로 제한해야 할 질병의 경우 치료효과가 더욱크다.



촉매 작용이 강한 효소가 섭취된다.

 식물의 날 것에는 소화를 돕는 효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그러나 이효소는 염산에 대해서는 강하나 열에 대해서는 극히 불안정하여 조리를 하면 파괴되어 버린다고 한다. 생채식의 필요성은 이 효소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된다.



각종 생야채가 갖고 있는 결함을 서로 보충할 수 있다.

 생채식을 할 때는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3종이상, 질병치료의 경우 5종 이상을 혼식해야 각 야채가 가진 영양상의 결점을 서로 보완시킬 수가 있다.


포만가가 높다.

 생야채는 섬유질이 많고 용적이 크고 또 이를 먹는데는 충분히 저작해야 하니까 비교적 적은 칼로리양의 섭취로도 만복을 느끼게 된다.


장의 활동을 고무한다.

 식물성 섬유가 많으니까 장을 자극하여 그 운동을 촉진한다. 따라서 상습 변비자는 생채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세포가 일신된다.

 세포가 일신되니까 전적으로 젊어진다.


글로뮈를 부활시키고 보수하고 강화하고 증가와 체감을 조절한다.

출처 : [사랑나눔]심마니휴게소
글쓴이 : 有 心 (유심) 원글보기
메모 :